빠알리 용어집

Ācariya (아짜리야)

선생님, 안내자

Adhiṭṭhāna (아딧타나)

강한 결심. 열 가지 pāramī(빠라미) 가운데 하나

Akusala (아쿠살라)

불건전한, 해로운. 반대말 kuśala (쿠살라)

Ānandā (아난다)

환희, 기쁨

Ānāpāna (아나빠나)

호흡. Anapana-sati (아나빠나-사띠): 호흡을 알아차림.

Anattā (아낫따)

무아, 자아 없음, 본질이 없음, 실체 없음, 세 가지 기본 특성 가운데 하나.  lakkhana (락카나)를 보세요.

Aniccā (아닛짜)

영원하지 않음, 덧없음, 변화. 세 가지 기본 특성 가운데 하나.  lakkhana (락카나)를 보세요.

Arahant/arahat (아라한/아라핫)

자유로운 존재. 마음의 불순물을 모두 파괴한 자.  Buddha (붓다)를 보세요.

Ariya (아리야)

거룩한 자. 성스러운 자. 궁극의 진리(nibbāna, 닙바나)를 경험하는 지점까지 마음을 정화한 자. ariya (아리야)에는 최대 7번까지 다시 태어나는 sotapanna (소따빤나, "흐름에 든 자")부터 앞으로 다시 태어나지 않을 arahat (아라핫)까지 4 단계가 있습니다.

Ariya aṭṭhaṅgika magga (아리야 앗탕기까 막가)

거룩한 팔정도.  magga (막가)를 보세요.

Ariya saccā (아리야 삿짜)

거룩한 진리.  sacca (삿짜)를 보세요.

Aśubhā (아수바)

순수하지 못한, 역겨운, 아름답지 못한. 반대말  subha (수바), 순수한, 아름다운.

Assutava/assutavant (앗수따와/앗수따완뜨)

가르침을 받지 못한, 진리를 들어본 적이 없는 자로서  suta-mayā-paññā (수따-마야-빤냐)도 부족하기에 자신의 해탈을 위해 한 걸음도 내디딜 수 없습니다. 반대말 sutava (수따와)

Avijjā (아윗자)

무지, 환상. 연기의 사슬(paticca samuppada, 빠띳짜 사뭅빠다)에서 첫 번째 연결 고리. rāga (라가), dosa (도사)와 함께 마음의 세 가지 주된 번뇌 가운데 하나. 이 세 가지가 마음의 모든 불순물의 뿌리 깊은 원인이며 따라서 괴로움의 원인입니다.  moha (모하)의 동의어.

Āyatana (아야따나)

영역, 지역, 특히 인지의 여섯 영역 (salayatana, 살라야따나), 즉, 다섯 가지 신체 감각과 마음, 그리고 각각에 해당하는 대상, 이름하여:
눈 (cakkhu, 짝쿠) 과 시각 대상 (rūpa, 루빠), 귀 (sota, 소따) 와 소리 (sadda, 삿다), 코 (ghana, 가나) 와 냄새 (gandha, 간다), 혀 (jivha, 지와) 와 맛 (rasa, 라사), 몸 (kaya, 까야) 과 촉감 (photthabba, 폿탑바), 마음 (mano, 마노) 과 마음의 대상, 즉, 온갖 생각 (dhamma, 담마)
이것들은 여섯 가지 기능이라고도 부릅니다. indriya (인드리야)를 보세요.

Bala (발라)

힘, 세력. 다섯 가지 마음의 힘은 믿음 (saddhā, 삿다), 노력 (vīriya, 위리야), 알아차림 (sati, 사띠), 집중 (samādhi, 사마디), 지혜 (paññā, 빤냐). 덜 계발된 형태로는 다섯 기능이라고 부릅니다. indriya (인드리야)를 보세요.

Bhanga (방가)

용해. 위빳사나 수행에서 중요한 단계로서 몸에서 느껴지는 단단함이 녹아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미세한 진동으로 바뀌는 경험을 말합니다.

Bhava (바와)

되어감(의 과정). Bhava-cakka (바와-짝까): 계속되는 존재의 바퀴. cakka(짝까)를 보세요.

Bhāvanā (바와나)

마음의 계발, 명상. bhāvanā (바와나)의 두 가지는 마음의 집중 (samādhi, 사마디)에 해당하는 고요함의 계발 (samatha-bhāvanā, 사마타-바와나)과 지혜 (paññā, 빤냐)에 해당하는 통찰의 계발 (vipassana-bhāvanā, 위빳사나-바와나)입니다. samatha (사마타)의 계발은 jhana (자나)의 상태로 이끌어주고 vipassana (위빳사나)의 계발은 자유로 이끌어줍니다. jhana (자나), paññā (빤냐), samādhi (사마디), vipassana(위빳사나)를 보세요.

Bhāvanā-mayā paññā (바와나-마야 빤냐)

개인적으로 직접 경험하여 계발하는 지혜.  paññā (빤냐)를 보세요.

Bhavatu sabba maṅgalaṃ (바와뚜 삽바 망갈랑)

"모든 존재가 행복하기를." 다른 존재들을 향해 자신의 선의를 표시하는 전통적인 문구. (말 그대로 "모두 행복하기를.")

Bhikkhu (빅쿠)

(불교) 남자 스님, 명상가. 여성형  bhikkhni (빅쿠니); 여자 스님

Bodhi (보디)

깨달음

Bodhisatta (보디삿따)

말 그대로 "깨달음-존재". 붓다가 되려고 수행하는 자. 완전한 깨달음을 얻기 전의 Siddhattha Gotama (싯닷타 고타마)를 가리켰습니다. 산스크리트어 bodhisattva (보디삿뜨와)

Bojjhanga (보장가)

깨달음의 요소, 즉, 깨달음을 얻는데 도움을 주는 자질. 그렇게 도움을 주는 7가지 요소는 알아차림 (sati, 사띠), 담마를 꿰뚫어보는 통찰 (Dhamma-vicaya, 담마-위짜야), 노력 (vīriya, 위리야), 기쁨 (piti, 삐띠), 고요 (passaddhi, 팟삿디), 집중 (samādhi, 사마디), 평정심 (upekkhā, 우뻭카)입니다.

Brahma (브라흐마)

더 높은 천상계에 사는 존재; 인도 종교에서 존재들의 계에서 가장 높은 존재를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용어로서 전통적으로 전지전능한 창조주-신으로 간주하지만 붓다는 이 존재도 다른 모든 존재와 마찬가지로 썩어가고 죽는다고 설명했습니다.

Brahma-vihara (브라흐마-위하라)

(브라흐마)의 특성, 따라서 마음의 숭고한 또는 거룩한 상태로 4가지 순수한 자질이 있습니다: 사심없는 사랑 (mettā, 멧따), 자비 (karuṇā, 까루나), 다른 사람의 행운을 함께 기뻐함 (muditā, 무디따), 만나는 모두를 향한 평정심 (uppekkha, 우뻭카); 명상 수행을 통해 이러한 4가지 자질을 체계적으로 계발함.

Brahmacariya (브라흐마짜리야)

금욕; 순수하고 성스러운 삶.

Bramhana (브라흐마나)

말 그대로 순수한 사람. 전통적으로 인도에서 사제 계급을 가르키는데 사용되었습니다. 그러한 사람은 자신을 "구원"하거나 자유롭게 하기 위해 천신 (Brahma,  브라흐마)에게 의존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그는 사마나(samana)와 다릅니다. 붓다는 참된 브라흐마나(brahmana)는 자신의 마음을 정화한 사람, 즉 아라핫(arahat)이라고 설명했습니다.

Buddha (붓다)

깨달은 사람; 자유로 가는 방법을 발견했고, 그 방법을 수행했고, 자신의 노력으로 목표를 이룬 사람. 두 종류의 붓다가 있습니다. pacceka-buddha (빳쩨까-붓다), 그가 발견한 방법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칠 수 없는 "외로운" 또는 "조용한" 붓다와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sammā-sambuddha (삼마-삼붓다) "완전한" 또는 "완벽한" 붓다입니다.

Cakka (짝까)

바퀴, Bhava-cakka (바와-짝까), 계속되는 존재의 바퀴 (즉, 고통의 과정), samsara (삼사라)와 같습니다. Dhamma-cakka (담마-짝까), 담마의 바퀴 (즉, 자유의 가르침 또는 과정). Bhava-cakka (바와-짝까)는 보통 순서대로 가는 연기의 사슬에 해당합니다. Dhamma-cakka (담마-짝까)는 반대 순서로 가는 사슬에 해당하고 괴로움을 늘려가는 쪽으로 이끌지 않고 괴로움을 소멸하는 쪽으로 이끌어줍니다.

Cintā-mayā-paññā (찐따-마야-빤냐)

지적인 분석으로 얻는 지혜.  paññā (빤냐)를 보세요.

Citta (찟따)

마음.  Cittānupassanā (찟따누빳사나) 마음의 관찰. satipaṭṭhāna (사띠빳타나)를 보세요.

Dāna (다나)

베풂, 너그러움, 기부. 열 가지 parami (빠라미) 가운데 하나

Dhamma (담마)

현상; 마음의 대상; 자연; 자연의 법칙; 자유의 법칙, 즉, 깨달은 사람의 가르침. Dhammānupassanā (담마누빳사나), 마음의 내용을 관찰. Satipaṭṭhāna (사띠빳타나)를 보세요. (산스크리트 dharma 다르마)

Dhatu (다뚜)

요소 (maha-bhutani, 마하-부따니를 보세요.); 자연적 조건, 속성.

Dosa (도사)

혐오.  rāga (라가)moha (모하)와 함께 세 가지 주된 마음의 번뇌 가운데 하나.

Dukkha (둑카)

괴로움, 만족스럽지 못함. 세 가지 기본 특성 가운데 하나 (lakkhana (락카나)를 보세요). 첫 번째 거룩한 진리 (sacca (삿짜)를 보세요.).

Gotama (고타마)

역사에 나오는 붓다의 성씨 (산스크리트 Gautama)

Hinayana (히나야나)

말 그대로, "더 작은 수레". 다른 종파를 따르는 사람들이 테라와다 불교를 가리키는데 사용했습니다. 경멸의 뜻을 포함.

Indriya (인드리야)

기능. 인지의 여섯 영역(ayatana (아야따나)를 보세요.)과 다섯 가지 마음의 힘 (bala (발라)를 보세요.)을 가르키는데 사용되었습니다.

Jati (자띠)

태어남, 존재

Jhana (자나)

마음이 몰입된 상태 또는 무아지경의 상태. samādhi (사마디), 또는samatha-bhāvanā (사마타-바와나)를 수행하여 얻을 수 있는 몰입 상태가 8가지 있습니다. (bhāvanā (바와나)를 보세요.). 자나를 계발하면 고요함과 기쁨을 가져오지만 가장 뿌리 깊은 마음의 번뇌는 제거하지 못합니다.

Kalāpa/attha-kalāpa (깔라빠/앗타-깔라빠)

물질을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가장 작은 단위, 네 가지 요소와 각 요소의 특성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maha-bhutani (마하-부따니)를 보세요.

Kalyana-mitta (깔야나-밋따)

말 그대로, "행복으로 이끄는 친구", 따라서 자유로 가는 길은 안내하는 사람, 즉, 영적인 안내자.

Kamma (깜마)

행동, 특히 자신이 한 행동으로서 자신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 (산스크리트 karma 카르마). saṅkhārā (상카라)를 보세요.

Kaya (까야)

몸. Kāyānupassanā (까야누빳사나), 몸의 관찰. satipaṭṭhāna (사띠빳타나)를 보세요.

Khandha (칸다)

덩어리, 무리, 더미. 사람은 다섯 덩어리로 이뤄져 있습니다. : 물질 (rūpa, 루빠), 의식 (viññāṇa, 윈냐나), 인지(saññā, 산냐), 느낌/감각 (vedanā, 웨다나), 반응 (saṅkhārā, 상카라)

Kilesa (낄레사)

마음의 번뇌, 부정성, 마음의 불순물. Anusaya kilesa (아누사야 낄레사), 잠재하는 번뇌, 무의식에 깔려 있는 불순물.

Kusala (꾸살라)

건전한, 이로운. 반대말 akusala (아꾸살라)

Lakkhana (락카나)

징후, 구별되는 표시, 특성. 세 가지 특성 (ti-lakkhana, 띠-락카나) 은 aniccā (아닛짜), dukkha (둑카), anattā (아낫따)입니다. 처음 2 가지는 조건화된 현상에 모두 공통됩니다. 세 번째는 조건화된 현상이나 조건화되지 않은 현상에 모두 공통됩니다.

Lobha (로바)

갈망. rāga (라가)의 동의어

Loka (로까)

대우주, 즉, 우주, 세계, 존재계. 소우주, 즉, 마음-몸 구조. Loka-dhamma (로까-담마), 세속적인 우여곡절, 모두가 직면하는 삶의 흥망성쇠, 즉, 이득 또는 손실, 승리 또는 패배, 칭찬 또는 비난, 즐거움 또는 고통.

Magga (막가)

길.

Ariya atthangika magga (아리야 앗탕기까 막가), 괴로움에서 자유로 이끄는 거룩한 여덟 길. 그 길은 세 단계 또는 세 가지 훈련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sīla (실라), 도덕성, 말과 몸으로 하는 행동의 순수성:

  • sammā-vācā (삼마-와짜), 바른 말
  • sammā-kammanta (삼마-깜만따), 바른 행동
  • sammā-ājīvā (삼마-아지와), 바른 벌이
samādhi (사마디), 집중, 자신의 마음을 제어하기:
  • sammā-vāyama (삼마-와야마), 바른 노력
  • sammā-sati (삼마-사띠), 바른 알아차림
  • sammā-samādhi (삼마-사마디), 바른 집중
paññā (빤냐), 지혜, 마음을 완전히 정화하는 통찰:
  • sammā-saṅkappa (삼마-상깝빠), 바른 생각
  • sammā-diṭṭhi (삼마-딧티), 바른 견해
Magga (막가)는 네 가지 거룩한 진리 가운데 네 번째입니다. sacca (삿짜)를 보세요.

Maha-bhutani (마하-부따니)

네 가지 요소, 모든 물질은 네 가지 요소로 이뤄져 있습니다. :

  • pathavī-dhatu (빠타위-다뚜) -- 흙 요소 (무게)
  • āpo-dhatu (아뽀-다뚜) -- 물 요소 (응집력)
  • tejo-dhatu (떼조-다뚜) -- 불 요소 (온도)
  • vāyo-dhatu (와요-다뚜) -- 공기 요소 (움직임)

Mahayana (마하야나)

말 그대로, "커다란 수레". 붓다 이후 몇 백년이 지나서 인도에서 발전된 불교가 북쪽으로 전파되어 티벳, 중국, 베트남, 몽골, 한국, 일본으로 전해진 불교의 종류.

Mangala (망갈라)

복지, 축복, 행복

Mara (마라)

죽음; 부정적인 힘, 악

Mettā (멧따)

사심없는 사랑과 선의. 순수한 마음의 자질 가운데 하나 (Brahma-vihara, 브라흐마-위하라를 보세요.); parami (빠라미) 가운데 하나. Mettā-bhāvanā (멧따-바와나), 명상을 통해 mettā (멧따)를 체계적으로 계발 

Moha (모하)

무지, 착각. rāga (라가), dosa (도사)와 함께 세 가지 주된 마음의 번뇌 가운데 하나. avijja (아윗자)의 동의어

Nama (나마)

마음. Nama-rūpa (나마-루빠), 마음과 물질, 마음-물질의 연속체. Nama-rūpa-viccheda (나마-루빠-윗체다), 죽는 순간 또는 (닙바나)를 경험할 때 일어나는 마음과 물질의 분리

Nibbāna (닙바나)

소멸; 괴로움에서 자유로움; 궁극의 실상; 조건화되지 않음. (산스크리트 nirvāṇa 니르바나)

Nirodha (니로다)

멈춤, 제거. nibbāna (닙바나)의 동의어로 자주 사용됩니다. Nirodha-sacca (니로다-삿짜), 괴로움의 제거라는 진리, 네 가지 거룩한 진리의 세 번째. sacca (삿짜)를 보세요.

Nivarana (니와라나)

장애, 방해. 마음의 계발에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는 갈망 (kāmacchanda, 까맛찬다), 혐오 (vyāpāda, 뷔야빠다), 마음이나 몸의 게으름 (thina-middha, 티나-밋다), 들뜸 (uddhacca-kukkucca, 웃닷짜-꿋꿋짜), 의심 (vicikicchā, 위찌낏차)입니다.

Olarika (올라리까)

거친, 굵은. 반대말 sukhuma (수쿠마)

Pali (빠알리)

행; 원문; 붓다의 가르침을 기록한 글; 따라서 그 글에 사용된 언어. 역사적, 언어적, 고고학적 증거는 빠알리가 붓다 당시 인도 북부에서 실제로 사용한 언어였음을 가리킵니다. 나중에 원문은 산스크리트어로 번역되었는데 산스크리트어는 배타적으로 문학적인 언어였습니다.

paññā (빤냐)

지혜. 거룩한 여덟 길을 수행하는 세 가지 훈련 가운데 세 번째 (magga (막가)를 보세요). 세 종류의 지혜가 있습니다.: 얻은 지혜 (sutta-mayā paññā 숫따-마야 빤냐), 지적인 지혜 (cintā-mayā paññā 찐따-마야 빤냐), 경험으로 아는 지혜 (bhāvanā-mayā paññā 바와나-마야 빤냐). 세 가지 지혜 중에 세 번째 지혜만이 마음을 완전히 정화할 수 있습니다.; it is cultivated by the practice of vipassana-bhāvanā (위빳사나-바와나)를 수행해서 이 지혜를 계발합니다. 지혜는 다섯 가지 마음의 힘 가운데 하나이고 (bala (발라)를 보세요.), 깨달음의 일곱 요소 (see bojjhanga (보장가)를 보세요.)와 parami (빠라미) 가운데 하나입니다.

Parami/paramita (빠라미/빠라미따)

완벽함, 덕성; 자만을 녹여서 자유로 이끄는 건전한 마음의 자질. 열 가지 빠라미는: 베풂 (dāna 다나), 도덕성 (sīla 실라), 버림(nekkhamma 넥캄마), 지혜 (paññā 빤냐), 노력 (vīriya 위리야), 인내 (khantī 깐띠), 진리 (sacca 삿짜), 강한 결심 (adhiṭṭhāna 아딧타나), 사심없는 사랑(mettā 멧따), 평정심 (upekkhā 우뻭카).

Paticca samuppada (빠띳짜 사뭅빠다)

연기의 사슬; 인과로 일어나는 발생. 무지로 시작되는 과정으로 생에 생을 거듭하며 자신에게 고통을 일으킵니다.

Puja (뿌자)

존경, 숭배, 종교적인 의식이나 행사. 붓다는 자신에게 존경을 표하는 적절한 뿌자 (puja)는 첫 단계부터 마지막 목표에 이르기까지 붓다의 가르침을 실제로 수행하는 것뿐이라고 가르쳤습니다.

Punna (뿐나)

공덕; 공덕이 되는 행동, 이런 행동을 함으로써 우리는 지금 그리고 미래에 행복을 얻습니다. 재가자에게, punna (뿐나) 는 자선을 베풀고 (dāna, 다나), 도덕적인 삶을 살고 (sīla, 실라), 명상을 수행하는 (bhāvanā, 바와나) 것입니다.

Rāga (라가)

갈망.  dosa (도사), moha (모하)와 함께 세 가지 주된 마음의 번뇌 가운데 하나. lobha (로바)의 동의어

Ratana (라따나)

보석, 보배. Ti-ratana (띠-라따나): Buddha (붓다), Dhamma (담마), Sangha (상가)의 세 가지 보석.

Rūpa (루빠)

  1. 물질
  2. 시각 대상
ayatana (아야따나), khandha (칸다)를 보세요.

Sacca (삿짜)

진리. 네 가지 거룩한 진리, ariya-sacca (아리야-삿짜)는:

  • 괴로움이라는 진리 (dukkha-sacca, 둑카-삿짜)
  •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진리 (samudaya-sacca, 사무다야-삿짜)
  •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진리 (nirodha-sacca, 니로다-삿짜)
  •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길이라는 진리 (magga-sacca, 막가-삿짜)

Sadhu (사두)

잘 했습니다; 잘 말씀하셨습니다. 동의 또는 승인의 표현.

Samādhi (사마디)

집중, 자신의 마음을 제어함. 거룩한 여덟 길을 수행하는 세 가지 훈련 가운데 두 번째 (magga (막가)를 보세요). 그 자체를 목적으로 계발하면, 마음이 몰입되는 단계로 이끌지만 (jhana, 자나), 마음의 완전한 자유로 이끌지는 못합니다. 세 종류의 사마디 (samādhi)는:

  • khanika samādhi (카니까 사마디), 순간적인 집중, 순간에서 순간으로 유지되는 집중
  • upacara samādhi (우빠짜라 사마디), 몰입의 상태에 다가가는 수준의 근접 집중
  • appana samādhi (압빠나 사마디), 성취된 집중, 마음의 몰입 상태 (jhana, 자나)

Samana (사마나)

은둔자, 방랑자, 탁발승. 재가자의 삶을 버린 사람. brahamana (브라흐마나)가 자신을 구하거나 자유롭게 하려고 천신에게 의지하는 반면, a samana (사마나)는 자신의 노력으로 자유를 추구합니다. 따라서 이 용어는 승원의 삶을 선택한 붓다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사용할 수 있지만 붓다를 따르지 않는 은둔자도 포함합니다. Samana Gotama (사마나 고타마) ("은둔자 고타마")는 붓다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이 붓다를 칭할 때 흔히 사용했습니다.

Samatha (사마타)

조용한, 고요한. Samatha-bhāvanā (사마타-바와나), 고요함을 계발; samādhi (사마디)와 동의어. bhāvanā (바와나)를 보세요.

Sampajanna (삼빠잔나)

마음-물질 현상 전체를 이해함, 즉, 감각의 차원에서 무상한 성질을 통찰함.

Samsara (삼사라)

다시 태어남의 반복; 조건화된 세계; 괴로움의 세계. 

Samudaya (사무다야)

일어남, 기원. Samudaya-dhamma (사무다야-담마), 일어나는 현상. Samudaya-sacca (사무다야-삿짜),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진리, 네 가지 거룩한 진리의 두 번째.

Saṅkhārā (상카라)

(마음의) 형성: 마음으로 하는 행동; 마음의 반응; 마음의 조건화. 다섯 덩어리 가운데 하나(khandha, 칸다)이며 연기의 사슬 (paticca samuppada, 빠띳짜 사뭅빠다)에서 두 번째 연결 고리. Saṅkhārā (상카라)kamma (깜마)이며 미래에 결과를 주는 행동이고 따라서 자신의 미래의 삶을 형성하는데 실제로 책임이 있습니다. (산스크리트 samskara 삼스카라)

Sankharupekkha (상카루뻭카)

말 그대로, saṅkhārā (상카라)에 대한 평정심. 위빳사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bhanga (방가)를 경험한 후 무의식에 깔려 있던 오랜 불순물이 마음의 표면으로 올라와 몸 감각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감각에 대해 평정심 (upekkhā, 우뻭카)을 유지함으로써 명상가는 새로운 saṅkhārā (상카라)를 만들지 않고 오랜 상카라가 사라지게 합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차츰 모든 saṅkhārā (상카라)를 제거하도록 이끕니다.

Saññā (산냐)

samyutta-nana (상윳따-냐나)로부터 조건화된 지식, 인지, 지각. 다섯 덩어리 가운데 하나 (khandha (칸다)). 보통 자신의 과거 saṅkhārā (상카라)에 의해 조건화되어 실상을 덧칠한 이미지로 전달합니다. 위빳사나의 수행에서 saññā (산냐)paññā (빤냐)로 바뀌고 실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합니다. 산냐는 aniccā-saññā (아닛짜-산냐), dukkha-saññā (둑카-산냐), anattā-saññā (아낫따-산냐), asubha-saññā (아수바-산냐)가 됩니다. 즉, 무상, 괴로움, 무아를 인지하고 물리적인 아름다움이 갖는 환상을 지각합니다.

Sarana (사라나)

피난처, 귀의, 보호. Ti-sarana (띠-사라나):삼귀의, 즉, Buddha (붓다), Dhamma (담마), Sangha (상가)에 귀의.

Sati (사띠)

알아차림. 거룩한 여덟 길 (magga,막가를 보세요)을 구성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다섯 가지 마음의 힘 (bala,발라를 보세요) 가운데 하나이며 깨달음의 일곱 요소 (bojjhanga, 보장가를 보세요) 가운데 하나. Anapana-sati (아나빠나-사띠), 호흡을 알아차림

Satipaṭṭhāna (사띠빳타나)

알아차림의 확립. 서로 연결된 satipaṭṭhāna (사띠빳타나)의 네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 몸의 관찰 (kāyānupassanā, 까야누빳사나)
  • 몸에서 일어나는 감각의 관찰 (vedanānupassanā, 웨다나누빳사나)
  • 마음의 관찰 (cittānupassanā, 찟따누빳사나)
  • 마음의 내용을 관찰 (dhammānupassanā, 담마누빳사나)

감각은 몸 뿐만 아니라 마음과도 직접 관련되기 때문에 네 가지 모두 감각의 관찰에 포함됩니다. The Maha-Satipaṭṭhāna Suttanta 마하-사띠빳타나 숫딴따 (Digha Nikaya 디가 니까야, 22)가 주된 참고 문헌으로서 vipassana-bhāvanā (위빳사나-바와나)의 수행에 대한 이론적인 바탕을 설명합니다.

Sato (사또)

알아차리다. Sato sampajano (사또 삼빠자노); 감각을 관찰함으로써 마음-몸 구조의 무상한 성질을 이해하며 그 구조 전체를 알아차립니다.

Siddhattha (싯닷타)

말 그대로, "임무를 완수한 사람". 역사에 나오는 붓다의 이름. 산스크리트 Siddhartha (싯다르타)

Sīla (실라)

도덕성; 몸과 말로 자신과 남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을 삼가기. 거룩한 여덟 길을 수행하는 세 가지 훈련 가운데 첫 번째 (magga, 막가를 보세요). 재가자는 오계를 지키면서 일상생활에서 sīla (실라) 를 지킵니다.

Sotapanna (소따빤나)

성스러움의 첫 단계에 도달한 사람, nibbāna (닙바나)를 경험한 사람. ariya (아리야)를 보세요.

Sukha (수카)

기쁨, 행복. 반대말 dukkha (둑카)

Sukhuma (수쿠마)

미세한, 가는. 반대말 olarika (올라리까)

Sutta-Mayā paññā (숫따-마야 빤냐)

말 그대로, 다른 사람들에게 들어서 얻은 지혜. 받은 지혜. paññā (빤냐)를 보세요.

Sutava/sutavant (수따와/수따완뜨)

가르침을 받은; 진리를 들은 사람,sutta-mayā paññā (숫따-마야 빤냐)를 가진 사람. 반대말 assutava (앗수따와)

Sutta (숫따)

붓다 또는 붓다의 주된 제자들이 한 법문. 산스크리트 sutra (수트라)

Tanha (딴하)

말 그대로, "목마름". 갈망과 그 반대인 혐오 둘 다 포함합니다. 붓다는 첫 번째 법문인 "법의 바퀴를 굴리는 법문" (Dhammacakkappavattana Sutta,담마짝깝빠왓따나 숫따)에서 tanha (딴하)가 괴로움의 원인(samudaya-sacca,사무다야-삿짜)이라고 했습니다. 연기의 사슬 (paticca samuppada, 빠띳짜 사뭅빠다) 에서 붓다는 몸의 감각에 대한 반응으로 tanha (딴하)가 일어난다고 설명했습니다.

Tathagata (따타가따)

말 그대로, "이렇게 가신" 또는 "이렇게 오신". 실상의 길을 걸어 궁극의 실상에 도달한 사람. 즉, 깨달은 사람. 붓다가 일반적으로 자신을 가리키는 용어.

Theravada (테라와다)

말 그대로, "원로들의 가르침". 버마(지금은 미얀마), 스리랑카,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같은 남아시아 국가에서 보존된 형태로 내려온 붓다의 가르침. 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가르침의 형태로 인식합니다.

Ti-lakkhana (띠-락카나)

lakkhana (락카나)를 보세요.

Tipitaka (띠삐따까)

말 그대로, "세 바구니". 붓다의 가르침을 세 가지로 모음, 이름하여:

  • Vinaya-pitaka (위나야-삐따까), 승원의 규율 모음
  • Sutta-pitaka (숫따-삐따까), 법문 모음
  • Abhidhamma-pitaka (아비담마-삐따까), 더 높은 가르침의 모음, 즉, 담마에 관한 체계적이고 철학적인 해설.

산스크리트 Tripitaka (트리피타카

Ti-ratana (띠-라따나)

ratana (라따나)를 보세요.

Udaya (우다야)

일어남. Udayabbaya (우다얍바야), 일어나고 사라짐, 즉, 무상 (또한 udaya-vyaya, 우다야-봐야). 자신 안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감각을 관찰하여 이 실상을 경험으로 알 수 있습니다.

Upadana (우빠다나)

집착, 매달림

Upekkhā (우뻭카)

평정심; 갈망, 혐오, 무지에서 자유로운 마음의 상태. 마음의 네 가지 순수한 상태 (Brahma-vihara, 브라흐마-위하라를 보세요), 깨달음의 일곱 요소 (bojjhanga, 보장가를 보세요), 열 가지 parami (빠라미) 가운데 하나.

Uppada (웁빠다)

나타남, 일어남. Uppada-vaya (웁빠다-와야), 일어남과 사라짐. Uppada-vaya-dhammino (웁빠다-와야-담미노), 일어나고 사라지는 성질을 지니고 있음.

Vaya/vyaya (와야/봐야)

사라짐, 썩어감. Vaya-dhamma (와야-담마), 사라지는 현상.

Vedanā (웨다나)

느낌/감각. 다섯 덩어리 가운데 하나 (khandha, 칸다). 마음에 관한 측면과 물질에 관한 측면을 둘 다 지닌다고 붓다가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vedanā (웨다나)는 마음-몸 현상 전체를 검토하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연기의 사슬에서 (paticca samuppada, 빠띳짜 사뭅빠다), tanha (딴하), 괴로움의 원인은 vedanā (웨다나)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난다고 붓다는 설명했습니다. vedanā (웨다나)를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반응을 피할 수 있고 내면에서 무상(aniccā, 아닛짜)의 실상을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집착하지 않는 법을 발전시켜 마음의 자유로 이끕니다.

Vedanānupassanā (웨다나누빳사나)

몸에서 감각을 관찰하기. satipaṭṭhāna (사띠빳타나)를 보세요.

Viññāṇa (윈냐나)

의식, 인지. 다섯 덩어리 가운데 하나 khandha (칸다)

Vipassana (위빳사나)

자기 성찰, 마음을 정화하는 통찰; 특히 마음-몸 구조가 지니는 무상, 괴로움, 무아의 특성에 관한 통찰.  Vipassana-bhāvanā (위빳사나-바와나), 몸에서 일어나는 감각을 관찰하면서 자신의 실상을 관찰하는 명상 수행법을 통해 통찰을 체계적으로 계발

Viveka (위웨까)

집착하지 않음; 분별하는 지능

Yatha-bhuta (야타-부따)

말 그대로, "있는 그대로". 현재의 실상. 야타-부따-냐나-닷사나(Yatha-bhuta-nana-dassana),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달음.